티스토리 뷰

명절만 되면 스트레스에 가족모임이 불편합니다. 사이가 안 좋으면 더 보기 싫을 때가 있습니다. 명절날 특히 이런 말은 피해야 된다고 하는데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. 대학 취업 결혼 출산 연애 감정싸움까지 스트레스가 쌓일 수밖에 없습니다.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명절 말 조심
이런 말 금지

 

 

목차

     

     

    명절이 되면 가족, 친척, 손님들도 찾아옵니다. 기분 좋게 만나면 좋은데 무심코 건네었던 말 한마디가 명절을 망칠 수가 있습니다. 당사자에게 마음의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. 대학 취업 결혼 출산 연애로 감정이 상할 수 있으니 민감한 주제보다는 건강이나 덕담을 하는 방향이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1. 명절날 듣기 싫은 말 top을  정리해 봤습니다.

    1위 누가 대기업 들어 갔다더라  /  누가 직장에 취업했다더라
    2위 아직 취업 못했니?
    3위 애인은 있니?

    이렇게 듣기 싫은 말 대신 용기를 줄 수 있는 수고 많다, 잘될 거야, 열심히 했으니 좋은 소식 있을 거다 등 이런 말 한마디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1-1 명절에 듣기 싫은 직장인과 미혼 여성은? 

    • 애인은 있니?
    • 결혼은 언제 하니?
    • 돈은 많이 모아놨니?

    1-2 명절에 듣기 싫은 기혼 남성의 경우?

    • 연봉은 얼마인가?
    • 누구 자녀는 용돈을 많이 주더라 

    1-3 명절에 기혼 여성의 경우?

    • 음식은 넉넉하게 장만하자
    • 조금 더 있다 가라
    • 아기는 언제 가질 거니?

    이외에도 학교나 직장 등에 대해 물어보는 경우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2. 왜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?

    명절 때 이런 말을 들으면 다른 때 보다 왜 이렇게 기분이 더 나쁜 걸까? 생각해 보게 됩니다. 물론 평소에도 이런 말을 들으면 마음이 안 좋습니다. 저도 어린 나이 때부터 학교, 직장, 연애, 결혼까지 순서 있게 들었던 터라 들을 때마다 처음에는 그냥 웃으면서 넘겼지만 매 년마다 들으니 그냥 넘기기에는 마음이 상했습니다.

     

    어른분들이 걱정하는 건 알고 있지만 걱정한다면 실질 적인 도움을 준다면 모를까 그것도 아니고 만날 때마다 들으니 스트레스가 쌓였습니다. 한 분에서 끝나면 되는데 도미노처럼 그 말이 주제가 되어 이야깃거리가 되어버리면 정말 난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. 결국 친척들이 모이는 자리는 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. 

     

    처음에는 반가운 만남이지만 때로는 격한 감정싸움까지 나서 종종 뉴스에 들리는 소식도 있습니다. 제가 고민해 본 결과 싸워서 득이 될 게 없다고 생각했고 그 자리를 피하는 방법이 제일 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. 여러 방법이 인터넷에 나오지만 가족분위기와 사람마다 성향이 틀리기에 행동으로 한다는 건 쉽지 않습니다.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안 하면 좋은데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는 게 문제입니다. 

     

    상대방을 배려하는 말을 한다면 좋겠습니다. 이왕 보내는 명절 기분 좋은 명절이 되길 바라며 글을 적어봅니다.